[뉴스초점] 한미, 대화 통한 대북접근 확인…"백신 파트너십 구축"<br /><br /><br />더 자세한 한미 정상회담 내용을 전문가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위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서오세요.<br /><br /> 이번 한미정상회담의 결실이라고 할 수 있는 공동성명 내용을 보면요. 판문점 선언과 싱가포르 선언을 담았다라고 갈음됩니다. 회담 시간도 기존보다 늘어 1시간이 지체됐는데요. 전체적으로 이번 회담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?<br /><br /> 과거 합의 계승으로 북한을 다시 대화 테이블에 앉히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방점을 뒀습니다. 하지만 비핵화 협상 재개를 위한 구체적인 해법은 제시되지 않았는데요. 북한과의 협상 여지를 남겨둔 거라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바이든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흔적을 지우는 정책을 추진하면서도 트럼프의 최대 치적으로 꼽히는 싱가포르 합의를 계승했다는 데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특히 북한 비핵화 추진이 없는 한 김정은 위원장과의 직접 만남은 없을 것이라는 원칙을 분명히 했어요?<br /><br /> 성 김 대북특별대표가 정상회담 직후 깜짝 지명됐습니다. 비건 전 국무부 부장관의 후임으로, 싱가포르 회담 때 당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합의문을 조율한 인물인데요. 북미 실무접촉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로 보여요?<br /><br /> 바이든 정부는 남북 판문점 선언을 지지하기도 했는데요. 이는 남북관계가 보다 주도적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. 남북 간 독자협력과 추가 협상의 문을 열어 둔건데, 남북관계 추동의 계기가 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북한 인권 개선은 공동기자회견에서는 빠졌지만 공동성명에서는 대북 인도적 지원과 이산가족 상봉 등 원론적인 수준으로 언급했습니다. 인권 문제를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여요?<br /><br /> 문 대통령은 북한의 긍정적인 호응을 기대한다면서, 이번 회담을 계기로 대화에 응해달라고 말했습니다. 대북제재 완화나 종전선언 같은 파격적인 내용이 담기지 않은 부분은 북측에게 아쉬운 대목일 것 같은데요?<br /><br /> 한미 미사일지침 종료로 우리 군의 미사일 사거리 제한이 사라졌습니다. 북한 전역뿐 아니라 중국, 러시아 지역 일부도 타격권에 들어가고 탄도미사일 개발도 가능해졌는데요. 북한과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돼요?<br /><br /> 대중국 견제 안보협의체인 미국, 일본, 호주, 인도 4개국 협의체 쿼드도 이번 회담의 관심사였습니다. 중국을 직접 언급하진 안았지만 남중국해와 대만해협을 통해 간접적으로 참여 가능성을 열어뒀다는 평가가 있어요?<br /><br /> 앞서 펠로시 하원의장은 문 대통령에게 한국이 쿼드에 들어오면 바람직하고, 5자 회담을 할 수 있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. 우리 정부의 스탠스가 중요해 보입니다?<br /><br /> 방미 일정 마지막 날인 내일은 오전에 미국 최초의 흑인 추기경을 면담하고, 조지아주 애틀랜타로 이동해 SK 이노베이션 현지 공장을 방문합니다. 앞서 우리 기업이 44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보따리를 내놓은 만큼, 한미 간 경제 협력 관계도 더 공고해질 수 있을 것 같아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